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 주식 세금, 이거 하나로 끝내요!

by 점프마리오 2025. 3. 27.
반응형

 

미국 주식 투자, 재미있고 수익도 날 수 있지만 세금 문제는 꼭 알고 있어야 합니다. 국내 주식과 달리 미국 주식은 세금 신고도 내가 직접 해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죠.

이번 글에서는 미국 주식 투자 시 알아야 할 세금 종류와 신고 방법을 아주 쉽게, 예시와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미국 주식 세금, 크게 2가지

세금 종류 언제 발생하나요? 세율 납세 방법
배당소득세 미국 주식에서 배당 받을 때 미국에서 15% 원천징수 별도 신고 없이 자동 공제
양도소득세 미국 주식을 팔아서 차익이 생길 때 차익의 22%(지방세 포함) 직접 신고 (매년 5월)

 

 

 

배당소득세는 자동 공제

미국 주식에서 배당금을 받을 경우, 미국 정부가 먼저 15%를 떼고 주기 때문에 우리가 따로 납부할 필요는 없어요.

예를 들어, 애플 주식을 갖고 있는데 100달러의 배당을 받는다면, 실제로는 85달러가 입금됩니다. (15달러는 미국 세금)

 

 

양도소득세는 내가 직접 신고해야 해요

미국 주식을 팔아서 차익이 발생하면, 국내 세법상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를 내야 해요.

  • 신고 기간: 매년 5월 (5월 1일~5월 31일)
  • 대상: 1월~12월 중 미국 주식 매도 후 차익이 있는 경우
  • 비과세 기준: 기본공제 250만 원까지는 과세 없음
  • 세율: 과세 대상 금액 × 22% (지방세 포함)

 

예시로 계산해볼게요

  • 1년 동안 테슬라 매수 → 매도하여 500만 원 수익 발생
  • 기본공제 250만 원 제외 → 과세 대상: 250만 원
  • 250만 원 × 22% = 55만 원 세금

 

어디에 신고하나요?

홈택스를 통해 직접 양도소득세 신고를 해야 해요. 또는 세무대리인을 통해 위임해도 되고,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해외주식 양도소득 내역 자료를 활용해 좀 더 쉽게 계산할 수도 있어요.

 

 

주의할 점!

  • 양도세는 매도 기준으로 발생, 보유 중인 주식은 해당 없음
  • 다른 국가의 해외주식도 동일한 기준 적용 (미국뿐만 아니라)
  • 배당과 양도는 서로 다른 세금, 각각 따로 고려해야 함
  • 금융소득 2천만 원 이상이면 종합과세 대상 가능성 있음

 

 

요약 정리

  • 미국 주식은 배당 받을 때 15% 자동 세금 공제
  • 미국 주식 팔아서 수익 났을 땐, 5월에 양도세 직접 신고
  • 1년 수익 중 250만 원까지는 공제, 그 이상은 22% 세금
  • 홈택스에서 신고 가능, 자료는 증권사에서 제공

 

마무리하며

해외주식 투자에서 수익도 중요하지만, 세금도 정확히 아는 것이 진짜 수익을 지키는 길입니다. 특히 미국 주식은 자동으로 처리되지 않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매년 5월 양도소득세 신고 여부를 꼭 챙겨보세요.

 

 

※ 본 글은 국세청 및 증권사에서 제공한 공개 자료를 바탕으로 쉽고 정확하게 재구성된 콘텐츠입니다. 투자 및 세금 신고는 개인의 책임이며, 상황에 따라 전문가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