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 관련 뉴스를 보다 보면 스톡옵션과 우리사주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두 제도 모두 회사에서 직원들에게 주식과 관련해 제공하는 제도이지만, 그 방식과 목적은 전혀 다릅니다.
오늘은 두 제도의 차이점과 각각의 특징을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 스톡옵션이란?
스톡옵션은 정식 명칭으로 주식매수선택권이라고 부릅니다. 주로 경영진이나 핵심 임직원에게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회사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를 주는 제도입니다.
주가가 오르면 싼 가격에 주식을 사서 이익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경영진에게 회사 실적을 높이기 위한 동기부여로 활용됩니다.
📌 우리사주란?
우리사주는 회사가 자사 주식을 직원들에게 직접 매입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직원들이 자기 돈으로 주식을 사서 보유하는 구조이며, 회사 차원에서는 직원 복지와 재산 형성 지원의 의미가 큽니다.
다만, 주식을 받은 직원은 1~3년의 의무보유기간 동안 주식을 팔 수 없습니다.
✅ 스톡옵션 vs 우리사주 비교
구분 | 스톡옵션 (주식매수선택권) | 우리사주 |
---|---|---|
대상 | 경영진, 임원, 핵심 인재 | 직원 전체 (희망자) |
방식 |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 제공 (행사 시 매입) | 직원들이 직접 주식을 매입 |
자금 부담 | 행사할 때 주식 매입 비용 발생 | 처음부터 직원이 자기 돈으로 매입 |
의무보유기간 | 없음 (행사 가능 기간만 존재) | 법적으로 1~3년 의무보유기간 |
목적 | 경영성과 유도, 회사 성장 인센티브 | 직원 복지, 재산 형성 지원 |
회사 영향 | 신주 발행 시 지분 희석 가능성 | 이미 발행된 주식 제공 → 희석 영향 적음 |
📌 정리
- 스톡옵션은 경영진에게, 우리사주는 직원들에게 제공
- 스톡옵션은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 우리사주는 직접 주식을 소유
- 스톡옵션은 주가 상승 인센티브, 우리사주는 복지·재산 형성 목적
- 우리사주는 의무보유기간이 있고, 스톡옵션은 행사기간만 있음
※ 본 포스팅은 2025년 3월 기준, 공개된 자료와 일반 상식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주식 투자 판단은 개인의 책임 하에 신중히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