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0

실리콘투 주가 전망 | 유럽과 중동에서 더 잘나가는 이유는? 요즘 한국 화장품, 해외에서 정말 인기가 많다는 얘기 많이 들으셨죠? 그 중심에 있는 기업 중 하나가 바로 실리콘투(257720)라는 회사예요. 이름만 보면 반도체 회사 같지만, 실리콘투는 국내 화장품을 사서 해외에 유통·판매하는 글로벌 유통 전문 기업이에요. 최근 하나증권에서 실리콘투에 대한 분석 리포트가 나왔는데요, 2025년 1분기 실적부터 유럽과 중동에서의 성장 가능성이 눈에 띄더라고요. 미국 중심이었던 매출 구조가 조금씩 바뀌고 있다는 점도 흥미롭고요.    📌 2025년 1분기 실적 예상 매출 약 2,000억 원 / 영업이익 약 391억 원 / 영업이익률 19% 작년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35%, 영업이익은 33% 증가했어요.  1. 미국 시장 회복세, 유럽·중동은 급성장 중작년에는 미국 시.. 2025. 4. 7.
아모레퍼시픽 주가 전망 | 2025년은 반등의 해가 될까? 화장품 업계의 대표 기업 아모레퍼시픽, 최근 주가가 바닥권이라는 얘기 많이 들리셨죠? 이번에는 2025년 1분기 실적과 앞으로의 흐름을 한눈에 정리해봤어요. 특히 초보 투자자분들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아모레퍼시픽, 어디가 잘 팔리고 있을까?2025년 1분기 아모레퍼시픽의 전체 매출은 약 1조 270억 원, 영업이익은 약 964억 원으로 예상돼요. 작년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약 13%, 영업이익은 33%나 성장한 수치예요. 전체 수익성도 점점 좋아지고 있고요.               국내 시장은 다소 주춤국내 매출은 면세점 판매 부진 영향으로 약간 줄었어요. 면세점은 중국 관광객 수에 영향을 많이 받는데, 아직 예전만큼 회복되지 않았기 때문이에요. 다만, H&B(올리브영 같은) 채널과 온라인.. 2025. 4. 7.
소비자 물가지수와 생산자 물가지수 (CPI vs PPI) 완전 비교 경제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비자 물가지수(CPI)와 생산자 물가지수(PPI). 이 두 지표는 물가 상승률, 즉 인플레이션을 판단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CPI와 PPI의 정의, 측정 방식, 차이점 그리고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소비자 물가지수(CPI)란?소비자 물가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는 일반 소비자가 실제로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한 지표입니다. 가장 현실적인 생활 물가를 반영하며, 국민의 구매력 변화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입니다.측정 대상: 식료품, 의류, 주거비, 교육, 교통, 의료 서비스 등사용 목적: 인플레이션 측정, 실질임금 계산, 연금 및 복지제도 조정측정 주기: 보통 매월 .. 2025. 4. 7.
코스피 -5% 쇼크는 할인행사? 고수들 어떤 주식을 샀을까?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폭탄 발언으로 전 세계 증시가 크게 흔들렸어요.특히 삼성전자가 크게 하락하며 ‘5만전자’로 주저앉자, 주식 고수 투자자들의 반응이 주목받고 있어요.오늘은 미래에셋증권에서 집계한 ‘최근 1개월 수익률 상위 1% 고수 투자자들이 실제로 가장 많이 산 종목’을 함께 살펴보면서, 어떤 흐름으로 투자 전략을 짰는지 알아볼게요.  1위: 삼성전자 – "지금이 저가 매수 기회?"삼성전자는 최근 트럼프의 발언으로 인해 주가가 4% 넘게 떨어지며 5만 원대 초반까지 내려갔어요.하지만 고수들은 이 타이밍에 "저가 매수 기회"로 판단하고 가장 많이 매수했어요.왜 그랬을까요?📈 증권사 목표가 상향 중KB증권: 8만 2,000원, 키움증권: 8만 원 등 상향 추세💾 메모리 반도체 가격 상승DDR5,.. 2025. 4. 7.
트럼프 관세 발언 여파, 미국 ETF 하루 만에 4조 증발한 이유 미국 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의 “중국에 더 강한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발언이 전 세계 금융시장을 흔들었습니다. 이 한마디에 미국 주식 시장이 휘청였고, 국내 투자자들이 많이 가지고 있는 미국 관련 ETF들도 큰 충격을 받았어요. ETF란 무엇인가요?ETF는 ‘상장지수펀드(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는 펀드예요. S&P500, 나스닥100, AI, 방산, 로봇 등 다양한 테마에 투자할 수 있죠.요즘엔 많은 투자자들이 미국 지수를 추종하는 ETF에 투자하고 있어요. 예를 들어 ‘TIGER 미국S&P500’은 미국의 대표 500개 기업에 분산 투자하는 ETF입니다.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트럼프의 관세 발언이 나온 후, 미국의 주가지수 선.. 2025. 4. 7.
S&P500에 10년 투자했더니? 실제 수익률과 배경까지 쉽게 설명 요즘 투자에 관심이 생겼다면 한 번쯤 들어봤을 단어, 바로 S&P500. 미국 경제의 흐름을 보여주는 대표 지수인데요, “이거 10년 전에 샀으면 얼마나 벌었을까?”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S&P500, 도대체 뭔가요?S&P500은 미국을 대표하는 500개 대형 우량기업 주식으로 구성된 주가지수예요. 우리가 아는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테슬라 같은 기업들이 이 지수에 포함돼 있죠. 이 말은 곧, S&P500에 투자한다는 건 미국 전체 경제에 투자하는 것과 비슷한 의미예요. 그래서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고, 실제로 그렇게 보여줬어요.             지난 10년, 어떤 일들이 있었을까요?2013년부터 2024년까지의 10년 동안, 세계는 참 많은 일을 겪었어요.2015.. 2025. 4. 7.